호주광산에서 일하기

광산에서 사용하는 용어(영어) 정리

CK mate 2024. 1. 24. 22:05
반응형

호주 광산 관련해서는 오랜만에 포스팅한다.
 
호주 광산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
 

 
 
아래 용어들에 익숙하다면 당신은 이미 Aussie miner이거나 적어도 몇 달 이상 광산 근무 경험이 있는 사람일 것이다. 처음으로 광산에 일하러 간다면 이런 익숙지 않은 용어들 때문에 당황할 수가 있다. 미리 알아두고 가자.
 
 
Roster (로스터)
광산 근무 스케줄을 로스터라고 한다. 
8 and 6 roster라고 하면 8일 일하고 6일 쉰다는 말이다. 
 
Swing (스윙)
Roster와 같은 의미다.   
What's your roster (swing)? 로스터스케줄이 어떻게 되니? 
 
Shift (쉬프트)
광산에서 본인의 근무시간을 쉬프트라고 한다. 
 
R&R (알엔알-  Rest and Relaxation)
광산에서 일 마치고 다음 근무 가기 전까지 광산에서 나와서 쉬는 것을 알엔알(R&R)이라고 한다. 
 
Back to back(백투백)
백투백은 교대근무자를 의미한다. Andy is my back to back이란 말은 내가 R&R일 때 나 대신 근무하는 사람이 Andy라는 말이다.
 

Camp (캠프)
광산에서 근무할 때 전체 숙소를 캠프라고 하는데 작은 컨테이너 만한 사이즈의 조그만 방(화장실 샤워실이 딸려 있다.)이 천 개 이상인 광산도 많다. 
 
Donga (동아)
위의 사진에서 보듯이 광산 캠프에 있는 컨테이너처럼 생긴 차에 싣고 이동이 가능한 숙소(Bed)를 동아라고 한다.    광산 숙소 전체는 Camp, 개별 방을 칭할 때는 Donga, Bed 또는 Room이라고 한다.

 
Drymess (드라이메스)
식당을 드라이메스라고 부른다. 뷔페식인데 보통 아침저녁 오픈한다.   
아침에 출근 전에 식사를 하면서 식당 안의 Salad Bar에서 점심을 만들어 가지고 출근한다. 

Wetmess (웻메스)
술이나 물, 간식거리 잡화등을 파는 곳이다. 본인 근무 시작 전에 항상 Breathalyzer(알콜 측정기)로 알콜 농도를 측정해야 하니, 무리하게 마셨다간 다음 날 근무를 못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것이 몇 번 누적되면 속칭 방을 빼야 할지도 모른다. 
 
Crib bag (크립백)
점심 도시락( 플라스틱 컨테이너)을 넣는 어깨에 멜 수 있는 가방.

Crib room (크립룸)
건물마다 간단하게 음식이나 차/커피를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곳이 있는데 이를 크립룹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아침에 드라이메스에서 준비한 점심을 먹는다. 사무실 근무자들은 크립룸 말고 자기 자리에서 점심을 먹는 사람도 많다. 

Tailing dam (테일링댐)
광산에서 채취한 광물을 처리(화학처리) 한 후 나오는 오염수를 보관하는 웅덩이 같은 댐이다. 
 
Site induction (사이트 인덕션)
광산에서 주로 첫날 혹은 첫날 둘째 날 광산 관련 오리엔테이션을 인덕션이라고 한다.  주로 안전에 관한 내용과 자연환경보호에 관해서 많이 다룬다. 

Toolbox talk / meeting (툴박스 톡/툴박스 미팅)
보통 쉬프트 시작 전에 아니면 매주 정해진 시간에 하는데 안전에 관한 교육이나 공유할 것이 있으면 공유하는 미팅이다. 
Pre-start meeting이나  pre-shift briefing이라고 하기도 한다. 
 
Charter flight (차터 플라잇)
회사에서 빌린 전세기를 말한다. 광산이 인접한 도시와 많이 떨어져 있어서 자체활주로를 가지고 있는 경우 회사에서 전세기로 직원들을 출퇴근시킨다. 
 
Commercial flight (커머셜 플라잇)
일반 상업용 민간 항공기를 말한다. 
 
PPE (피피이)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의 줄임말인데, 개인 보호장비를 통칭한다.
안전모, 장갑, 마스크, 보호안경(Safety glasses), 워크부츠, 야광 작업복등이 해당된다.  
 
JHA (제이에이치에이)
Job Hazard Analysis의 줄임말인데. 광산섹터뿐 아니라 건설, 오일, 가스, 중공업등 안전이 중요시되는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어떤 일이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이나 일이 안전한지 점검하는 과정이나 문서를 말하는데, 보통 광산에서 JHA 폼을 늘 가지고 다니면서 간단한 작업을 할 때도 해당 일을 시작하기 전 늘 JHA 폼을 작성하여 해당 일이 안전하게 행해질지 미리 검토한다. 오일이나 가스 섹터에 일해 보신 분이라면 이런 절차가 아주 익숙할 것이다.  

 

Smoko (스모코)

원래 담배 피우는 시간을 의미했는데, 쉬는 시간 (break)을 말한다.

 

Shutdown (셧다운)

광산에서의 대규모 정비 작업

광산(또는 처리 공장, 설비)이 일시적으로 운영을 멈추고, 대대적인 점검, 수리, 업그레이드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매년 정기적으로 한 번은 셧다운을 한다. 보통 3-4일에서 1-2주 걸린다.  

 

Pitram (피트렘)

Micromine이라는 호주 회사에서 만든 광산 운영 관리 시스템(Mining Fleet Management System, FMS)인데 지금은 Weir Group이라는 글로벌 기업에 인수되었다. 광산인력관리, 생산관리, 광산장비추적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지금은 무인으로 광산장비나 트럭을 운용하는 회사가 점점 많아지고 있어서, 내가 예전에 일했던 사이트도 이제 프트렘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Wheel chocks (휠촉쓰)

차량의 바퀴가 굴러가지 않도록 바퀴 앞뒤에 끼우는 고무나 금속 재질의 삼각형 받침대다. 보통 광산 현장의 주차장에 고정식으로 설치가 되어있지만, 설치가 되어 있지 않는 곳에서는 보통 차를 주차한 후 직접 휴대용 wheel chocks로 바퀴를 고정시켜야 한다. 광산의 대부분의 차량은 wheel chocks을 보통 차 안에 휴대하고 다니는데, 경사진 곳이나 평지 상관없이 주차를 할 때면 늘 wheel chocks를 차량 바퀴를 고정시켜야 한다. 이것을 의무적으로 광산 해서 해야 한다는 룰도 광산마다 주마다 조금씩 다르다. 

 

Core Shed (코어쉐드)

드릴링을 통해 채취한 코어 샘플 (드릴링을 통해 지층을 뚫어서 채취한 원통 모양의 샘플)을 보관하고 분석하는 곳이다. 광산에서는 이 샘플을 통해 광석의 질이나 자원 분포를 파악하는 데 꼭 필요하다. 

 

Paste Plant (패이스트플랜트)

광산에서 paste plant는 슬러리(Slurry) 형태의 폐기물을 고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비다. 이 과정은 광산에서 처리한 광석에서 나온 폐기물을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든 뒤 이를 paste(반죽) 형태로 변환하는 방식인데, 폐기물의 고형화를 통해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설비다.

 

Weight Bridge (웨잇브릿지)

웨이트 브리지(Weight Bridge)는 무게 측정을 위해 설치된 대형 저울인데, 광산에서는 주로 광석이나 폐기물(테일링), 또는 다른 자재의 무게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 보통 차량이 올라가서 무게를 측정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