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광산에서 일하기 #2 (Residential, FIFO, DIDO)
광산에서 일하기 #1편에서 언급했듯이 대부분의 광산은 시티와 많이 떨어진 지역에 있다. 그래서 호주 광산에서 일하는 방식도 다양하다. 그럼 호주광산에서 일할때의 근무형태에 대해서 알아보자.
1. Residential
광산과 가까운 마을이나 소도시에서 근무하면서 회사에서 제공하는 출퇴근용 버스나 본인차로 출퇴근하는 경우다.
회사에서 렌트 보조금을 제공하는 곳도 있다.
2. FIFO (Fly In Fly Out)
광산이 위치한 근처 가까운 공항이나 광산 자체내에서 만든 공항으로 회사에서 계약한 비행기를 타고 출퇴근하는 경우.
내가 일했던 광산중 일부는 광산 자체내에 활주로가 닦여져 있어 전세기를 타고 광산에 바로 출근하는 곳도 있었고, 광산과 가까운 도시의 공항으로 비행기로 간후 차를 렌트하거나 회사에서 빌린 전세 버스를 타고 광산으로 출근하는 경우도 있었다.
3. DIDO (Drive In Drive Out)
광산으로 본인의 집에서 직접 운전해서 출퇴근하는 경우.
보통 Residential로 일할때 일반 회사처럼 주 5일 근무하는데가 많은데, FIFO나 DIDO처럼 Rosters 근무를 하는 곳도 많다.
광산에서 대표적인 근무 스케줄 (Roster)는 아래와 같다.
9:5 (9 days on/5 days off) - 9일근무/5일휴식
8:6 (8 days on/6 days off) - 8일근무/6일휴식
1:1 (1 week on/1 week off) - 1주근무/1주휴식
2:2 (2 weeks on/2 weeks off) - 2주근무/2주휴식
3:1 (3 weeks on/1 week off) - 3주근무/1주휴식
물론 직무 종류와 해당 사이트에 따라서 이외에도 천차만별이다.
FIFO나 DIDO는 일단 광산에 들어가면 자기 Roster끝날때까지는 광산에서 숙식하면서 일한다.
보통 일하는 시간은 하루(swing 당) 10시간에서 12시간정도 근무한다.
추가 정보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길...
호주 광산에서 일하기 #1 (광산 일 찿기)
호주 광산에서 일하기 #3 (Police Clearance, Medical)
호주 광산에서 일하기 #4 (급여, 장단점)
호주 광산에서 일하기 #5 (세금환급, PPE, Mobile)